단체장 말씀 보좌를 위한 공무원의 글쓰기 향상법

김철휘
한국공공기관연구원 부원장

청와대 행정관 , 선임행정관(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대통령 연설문 작성)

 

단체장들에게 필요한 연설문이나 말씀자료와 같은 글은 어떤 방법으로 쓰는 것이 좋을까?

 

공적인 글은 사적인 글과 다르다.
우선 공직자가 쓰는 글은 몇 가지 특징이 있다. 바로 공적인 글과 사적인 글의 다른 점이라고 할 수 있다. 공적인 글은 쓰는 사람 개인의 글이 아니다. 나는 지난 23년 동안 대통령과 국무총리의 연설문을 썼지만, 대한민국 국가기록 어디에도 내가 썼다는 것은 없다. 그건 내 글이 아니라는 말이다. 그 글은 나의 철학이나 소신이 아니라 말하는 사람의 뜻이라는 의미다. 당시 정부의 뜻, 기관의 뜻이다. 말 그대로 공적인 글이다.
다음으로 공직자의 글은 책임질 수 있는 글이어야 한다. 언론에서 보도할 때도 당국자라는 말 앞에는 항상 ‘책임 있는’이라는 수식어가 붙는다. 따라서 아이디어 차원의 이야기를 함부로 해서는 안 된다. 실행할 수 있는 글이어야 한다. 그리고 공직자의 글은 선의(善意)로 시작해야 한다. 이 글이 우리 국민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고 정보가 될 것이다,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라는 선의를 가지고 써야 한다.

 

공적인 글은 분량, 주제, 구성의 순서로 정리한다
공무원들이 단체장을 보좌하기 위한 글은 어떻게 써야 할까? 연설문을 비롯한 공적인 글을 쓰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첫째, 글의 분량을 정한다. 어떤 행사의 축사를 써야 한다면 시간부터 정해야한다. 대부분 행사의 축사는 3분 정도다. 연설문은 그만큼 정제된 언어로 정리된 것이기 때문에 3분도 결코 짧은 시간이 아니다. 5분이면 대략 1,800자 정도 필요하다. 보통 사람의 경우 1분에 360자 정도를 소화한다.

 

둘째, 주제를 정한다. 말할 시간, 즉 써야 할 글의 분량이 정해지면 거기에 담길 주제를 찾아야 한다. 공직자가 하는 말은 사적인 말과 다르다. 바로 책임이 따른다. 책임은 곧 신뢰와 직결된다. 소통을 많이 한다고 무조건 현장에 많이 가는 것은 아니다. 현장에 가는 것만큼 가서 무슨 말을 하느냐는 게 중요하다. 자칫 현장에 간 공무원 한 사람이 아무 생각 없이 던진 한마디 때문에 다시 갈등이 일어난 경우도 적지 않다. 만나서 무슨 이야기를 하느냐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결국은 내용이다. 그래서 공직자가 하는 말은 그 콘텐츠가 핵심이다. 특히 한 지역을 책임지고 있는 단체장의 말은 더더욱 중요하다. 단체장의 한마디 한마디가 정책의 성패를 좌우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셋째, 구성이다. 시간이 정해지고, 주제가 정해지면 글의 구성을 해야 한다. 그림을 그려서 배분한다.‘인사-메시지 1-메시지 2-마무리’가 기본이다. 이것이 가장 기본이 되는 구성 형태라고 할 수 있다. 5분 연설을 할 때 인사는 얼마나 하면 될까? 이 순서대로 말할 내용을 구체적으로 배분한다. 예를 들면 인사에 40초, 첫 번째 메시지에 1분 30초, 두 번째 메시지에 2분, 그리고 마무리에 나머지 시간을배분한다. 이렇게 구성하고 글을 쓰기 시작해야 한다. 이렇게 해야만 쓰기도 쉽고 중언부언을 피할 수 있다. 시작부터 마무리까지 대강의 내용이 머릿속에 그려져 있기 때문이다.

 

글에 담는 메시지는 어디에서 어떻게 찾을까?
지방자치단체장이 말할 수 있는 메시지는 어디에서 찾을까? 가장 중요한 것은 그 행사와 관련된 정책이다. 행사의 말씀 자료도 그렇고 연설문도 그렇다. 공무원이 기댈 수 있는 곳은 정책이다. 또 기대야 할 곳도 정책이다. 정책이 곧 메시지고 콘텐츠가 되어야 한다. 이 정책을 이야기하기 위해 행사를 하고, 축사를 하는 것이다. 그 정책은 어디에 있을까? 공무원의 사무실 PC 안에, 홈페이지 안에 다 있다. 그 다음은 국정과제다. 국정과제 또는 국가적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현재 대한민국 정부가 나아가는 방향이라고 볼 수 있다. 그다음은 사회적 이슈다. 국민이 관심을 가지는 이야기이다. 이 세 가지 측면에서 메시지를 찾아야 한다. 이렇게 하면 대체적으로 글의 골격을 만들 수 있다.

 

말씀 자료는 어떻게 정리할까? 
구체적인 사례 하나를 보자. 단체장의 말씀 자료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말씀 자료는 연설문과 달리 말 그대로 자료다. 간담회나 오찬 등을 할 때 단체장들이 말할 수 있는 자료인 것이다. 그런데 직원들이 써주는 이 말씀 자료에 대해 단체장들이 느끼는 만족도는 그리 높지 않다. 말씀 자료를 글이라 생각하고 처음부터 끝까지 한 호흡으로 정리하기 때문이다.
다른 이야기하고 다시 돌아올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은 메시지를 확실하게 구분해서 쓰는 방법밖에없다. 그래서 말씀 자료를 쓸 때는 아예 번호를 매겨놓고 하는 것이 좋다. 1, 2, 3, 4, 5를 적어놓고 다섯 가지 이야기를 정리한다. 1번 행사의 의미, 2번 사회적 이슈, 3번 정책, 4번 정책 추진의 어려움, 5번협조 사항 등의 순서로 정리한다.

인사는 ‘반갑습니다,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하는 그런 인사가 아니다. 그 자리에 참석한 어떤 기업의 대표가 최근 한 언론사 주최 행사에서 사회봉사대상을 수상했다면 그런 소재를 가지고 칭찬해야한다. “아, 대표님 정말 대단하십니다. 그렇게 바쁜 와중에 사회봉사까지 열심히 하십니까?” 이런 말한마디면 충분하다. 글재주가 아니라 자료를 찾는 노력이다. 그렇게 인사를 한 다음은 당연히 정책 부분이다.

배너

발행인의 글


무주군 치매안심마을 4곳 지정

무주군이 설천면 남청마을, 무풍면 하덕마을, 적상면 여원마을, 부남면 대티마을이 2024년 치매안심마을로 선정됐다고 15일 밝혔다. 치매안심마을은 치매에 관한 인식을 개선하고 치매 환자와 그 가족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치매 친화적 안심 공동체 실현이란 취지로 지정·운영 중이다. 먼저 15일에는 설천면 남청마을과 무풍면 하덕마을에서, 16일에는 적상면 여원마을과 부남면 대티마을에서 현판 제막식이 진행된다. 15일에 열린 현판 제막식에서 황인홍 무주군수는 "우리나라 치매 인구가 100만 명에 이르는 상황에서 치매는 공동의 문제가 됐다"라며 "치매안심마을은 온 마을이 울타리가 되고 주민 모두가 보호자가 되어 서로를 인정하고 보듬으며 치매를 이겨나가자는 취지에서 운영하는 만큼 마을에 지원되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교육, 검진들을 통해 몸과 마음 건강을 잘 살펴보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무주군은 2019년 최초로 치매안심마을을 지정한 이래 해마다 4개 마을을 새로 지정하고 있다. 올해로 2·3년차가 8곳, 운영 종료된 9곳 등 총 21곳이 있다. 치매안심마을로 지정되면 3년차까지 해당 마을 경로당 이용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인지선별검사와 주관적 기억력 감퇴 평가,

미국 경제학자, 향후 금값 30% 상승 예상

미국의 저명한 경제학자 데이빗 로젠버그는 미국 연방준비위원회(Federal Reserve Board)의 금리인하를 신호로 올해 금값이 온스당 3,000달러 (한화 약 4백만원)까지 상승하여 현재보다 거의 30% 오를 것이라고 4.4.일 로젠버그 보고서를 통해 전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금값의 상승을 ‘특히 인상적’이라고 표현했는데, 그 이유는 금이 모든 주요 통화를 능가했을 뿐만 아니라 종종 황색 금속의 가치를 하락시키는 전형적인 마르코 장애물을 모두 통과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인베스트 닷컴(Investing.com)에 의하면 금 가격은 연초 약 13% 상승해 4월 현재 온스당 2,353달러(한화 3백14만원)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적고 있다. 또, 비즈니스 인사이더(Business Insider)에 의하면 금 가격을 새로운 기록으로 끌어 올린 주요 요인은 최근 몇 년간 꾸준했던 공급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중앙 은행이 준비 자산을 귀금속으로 방향을 바꾸면서 수요와 관련이 있었다고 보았다. 중국 위안화가 세계 제2의 기축 통화로서의 지위를 상실하고 일본, 러시아, 터키, 폴란드 등 많은 국가들이 미국 달러에 대한 과도한 의존을 우려하면서 안보를 위해